[함께 읽기] #6. 월스트리 저널이 정보를 ‘보여주는 방식’에 대하여
두고두고 정독해보기 위해 메모를 해둡니다. 복잡하고 관련성을 찾기 어려운 정보를 알기 쉽게 이해하게 돕는 월스트리트저널의 인포그래픽 제작 방법과 정보 표현의 최적화를 위한 편집 기법을 소개하고… 더 보기 »[함께 읽기] #6. 월스트리 저널이 정보를 ‘보여주는 방식’에 대하여
두고두고 정독해보기 위해 메모를 해둡니다. 복잡하고 관련성을 찾기 어려운 정보를 알기 쉽게 이해하게 돕는 월스트리트저널의 인포그래픽 제작 방법과 정보 표현의 최적화를 위한 편집 기법을 소개하고… 더 보기 »[함께 읽기] #6. 월스트리 저널이 정보를 ‘보여주는 방식’에 대하여
수 많은 아쉬움과 뜨거운 눈물을 남기고 소치 올림픽이 막을 내렸습니다. 스포츠 이벤트가 언제나 그렇듯 이번 올림픽에서도, 선수들 모두는 저 마다의 이야기를 만들어냈고, 우리는 그들의… 더 보기 »[들어가는 글] 디지털 스토리텔링 해부학교실을 시작하며
“…, 공중 매체의 키가 되는 대화(dialogue)는 모두의 발화(utterance)를 통해 완성됩니다. 완성이라는 표현이 좀 꺼림칙합니다. 공중매체에는 완성 혹은 종료가 없기 때문입니다. 흐름만이 존재할 뿐입니다. 새로운 발화에… 더 보기 »“저자와 독자, 생산자와 소비자의 구분이 없어지고…”
D&A의 서비스 두 번째 항목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 Storytelling)“을 올려놓기까지 한참을 고민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어떤 활동을 사업(business)으로 한다는 건 그것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어야… 더 보기 »[생각]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사업적 가능성과 문화적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