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성과를 증명하기 위한 필수적 전제 두 가지
콘텐츠의 성과를 설득력있게 입증할수 있으려면, 사전에 목표를 분명히 정의해두어야 하며, 그 목표에 다가가게 되는 유의미한 중간 과정(Lead)의 모습과 기준을 합의해두어야 한다. 콘텐츠 성과 측정 계획(measurement plan)은 이 두 가지 전제 위에서 출발점을 갖게 된다.
콘텐츠의 성과를 설득력있게 입증할수 있으려면, 사전에 목표를 분명히 정의해두어야 하며, 그 목표에 다가가게 되는 유의미한 중간 과정(Lead)의 모습과 기준을 합의해두어야 한다. 콘텐츠 성과 측정 계획(measurement plan)은 이 두 가지 전제 위에서 출발점을 갖게 된다.
이 글은 얼마전 #Facebook 포스팅으로 남겼던 ‘디지털 수몰민’이라는 기사의 비유에 대한 단편적인 생각을 다듬은 것이다. [블로터] 싸이월드 끝내 폐업…지난달 문 닫았다 이젠 정말 ‘안녕’이라고 이야기해야 하는 건가, #싸이월드?! 기사 속에는 이 상실감에 사로잡힐 사람들을 가르켜… 계속 읽기 »‘디지털 수몰민’이 된 싸이월드 세대의 상실
콘텐츠가 잘 되었다는 걸 어떻게 알수 있을까?
콘텐츠 마케팅의 성공을 판단하는 것은 일반적인 콘텐츠의 성공을 가늠하는 것과는 다르다. 대개의 경우 콘텐츠 마케팅에 있어서는 ‘목적’이라는 것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많이 보여지고 이러저러한 반응을 얻어내는 것 이외의 성과 기준을 필요로 하게 된다. 콘텐츠 마케팅도 과학적인 기준과 성과 관리 체계가 필요한 까닭이다.
계속 읽기 »“측정가능 한 것 vs. 측정할수 없는 것”: 콘텐츠 마케팅 성과 측정마케팅 성과에 기여하는 콘텐츠는 어떤 지표와 데이터로 측정할수 있을까? 데이터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방법론으로 콘텐츠의 성과 측정과 개선 방법을 만들어보자. 콘텐츠에 대한 반응,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 콘텐츠로 얻게 되는 인식 효과 또는 행동 효과를 통찰할수 있는 콘텐츠 마케팅 성과분석 체계의 개요를 설명한다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서비스의 변화가 더욱 빨라지고 있는 양상이어서,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하고 공유하던 목적으로 사용하던 이 블로그도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해졌다. 무엇이 되었든 꾸준히 실천하고 생산해낸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겠으나, 가장 기본적인 것에서부터 차근차근 단단하게 쌓아올린다는… 계속 읽기 »OurDigital 블로그 재설정 작업 for 디지털 미디어 (2020.05.01)
구글은 “brand lift”라는 개념을 통해 그들의 YouTube 광고 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실험그룹과 통제그룹간에 설문과 유기적 검색어의 차이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광고가 브랜드에 대한 인식과 행동에 어떻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핀다는 것이다.
소셜미디어가 가짜뉴스와 진영 논리에 기댄 프로파갠다에 찌들어, 점점 생산적인 교류와 소통의 장으로서의 생명력을 읽고 있다
늘 바쁘다는 핑계로 하고 있는 일의 성과와 의미를 점검해보고, 그 정리된 내용을 이 분야에서 함께 하는 동료들과 나누는 데 게을렀습니다. 글쓰기에 서툴러진 손가락이 말을 듣지 않고, 느릿하고 귀차니즘에 사로잡힌 마음가짐 때문이라는게 정직한 변명이긴 하겠지만, 콘텐트… 계속 읽기 »콘텐츠 마케팅 2019 주요 논점, 그리고 성과 분석 – 함께 생각하기 #06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개념 올바로 이해하기 – 김형진님의 인터뷰 AI에 대한 호기심과 두려움이 나날이 늘어나면서, 이와관련된 여러 가지 개념과 이야기들이 주변을 어지럽게 떠돌아다니고 있습니다. 이 어지러운 생각의 파도 속에서 단단한 밑바닥을 잡아주는 명쾌한 인터뷰 영상을… 계속 읽기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에 대한 올바른 이해 – 함께 읽기 #15
몇 해 전부터 이 주제는 숱하게 이야기되었고, 이제는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거대한 흐름이지만, 이 변화의 방향이 가리키고 있는 미래의 모습은 콘텐츠, 미디어, 광고, 엔터테인먼트 산업 종사자들에게는 근본적인 혁신을 준비할 것을 엄중히 요구하고 있다. Deloitte Digital… 계속 읽기 »디지털 혁신이 어떻게 미디어 이용과 콘텐츠 소비를 바꾸는가? – 함께 읽기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