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와 진영논리로 오염되는 소셜미디어를 방치하면 안 되는 이유 – 함께 읽기 #16
소셜미디어가 가짜뉴스와 진영 논리에 기댄 프로파갠다에 찌들어, 점점 생산적인 교류와 소통의 장으로서의 생명력을 읽고 있다
https://www.googleoptimize.com/optimize.js?id=GTM-TL7THZ9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말 해두어야 할 것들
소셜미디어가 가짜뉴스와 진영 논리에 기댄 프로파갠다에 찌들어, 점점 생산적인 교류와 소통의 장으로서의 생명력을 읽고 있다
페이스북이 internet.org를 통해 저개발국가의 인터넷 접속을 돕는 사업을 하고 있다는 건 잘 알려진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그 의도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해석이 분분했고, 이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Read More »페이스북이 인터넷을 대체하는 세상을 향한다면?! – 함께 생각하기 #05
밥은 생명이다. 스스로 먹는 것을 중단하는 행위는 ‘단호한 의지’를 필요로 한다. 생명을 지탱하는 배고픔의 욕구를 다스리며, 뜻과 마음의 결을 단단히 세우는 일… 이런 모진 결기가… Read More »[함께 생각하기] #2. 밥을 끊고 온 힘을 다해 탄원하는 사람을 생각하며
언론이 사회현상을 선정적으로 다루어 “잘못된 생각의 틀”을 씌워버리는 전형적인 사례! 아동학대는 ‘계모’가 하는 게 아니라 친부모가 일으키는 경우가 훨씬 많다. 2014년 3월 16일 일요일, 한국의… Read More »[사례] 언론의 선정적 시각이 어떻게 사실을 달리 보이게 하는가?!
올해 들어 유난히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위기”라고 부를만한 사건들이 눈에 띄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보이지 않던 것들이 수면 위로 드러나게 되었다는 표현이 맞을 수도 있는데, 그… Read More »최근 위기관리 사례 분석의 종합판 – The Lab h “그들은 과연 쿨하게 사과했을까?”
결국 미디어렙법안이 한나라당의 단독입법으로 강행처리되었다. 관련 기사 :http://bit.ly/w LJZJZ (연합뉴스) 문제는 이 법안이 왜, 지금 핫 이슈가 되는냐 하는 점이다. 대개 날치기로 통과되는 법안들은 누군가의 절실한… Read More »미디어렙법의 변화가 우리에게 남기는 것
인터넷 세상 속에선 무엇이든지 빠르다. ‘실시간’이라는 수식어를 달고, 무엇이든지 순식간에 나타나고, 삽시간에 퍼져나간다. 긴 호흡의 생각과 통찰은, 머물러 있지 못하고, 눈길을 받지 못하고, 쉽사리 잊혀져… Read More »[시선] ‘느리게 걷기’가 허락되지 않는 세상
살인범에게 인권이 있을까? 감정적으로 이야기한다면, 죄의식조차 엿보이지 않는 그의 행위에 대해 인권을 운운한다는 게 그리 적당치 않다는 생각도 든다. 끔직한 범죄로 못숨을 앗긴 희생자들에게 우선… Read More »[돌아보기] 어느 살인범의 인권에 대하여
‘잘 되면 내 덕, 못 되면 남 탓‘ 하는 것을 인지상정이라고는 하지 말자. 그런 마음이 이는 것에 대해 제발 부끄러워할 줄은 알아야 하지 않을까? 故… Read More »[발언] ‘미네르바 때문이야’라고 하지는 말아야…
우즈베키스탄의 고려인 4세인 이 마리나씨가 한 이야기다. “한국 남성 분들은 골프를 친 다음, 100이면 100명 다 밤에 아가씨가 나오는 술집 안내를 요구해요. 그러고는 욕을 합니다.… Read More »[말 한마디] “그게 원래 한국 문화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