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사회에서의 평판과 자아 – 함께 생각하기 #04
초연결 사회(Hyper-connected World) 속의 ‘나’의 모습은? 사회라는 것 속에 살아가는 이상, 사람은 진짜 나의 모습과는 별도로 다양한 ‘사회적 자아’를 갖게 된다. 그 중에는 내가 바라는 모습에… 더 보기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평판과 자아 – 함께 생각하기 #04
사람과 디지털의 교집합 속에 어우러지는 새로운 현상, 생각해보아야 할 것, 떠오르는 느낌에 대한 정리
초연결 사회(Hyper-connected World) 속의 ‘나’의 모습은? 사회라는 것 속에 살아가는 이상, 사람은 진짜 나의 모습과는 별도로 다양한 ‘사회적 자아’를 갖게 된다. 그 중에는 내가 바라는 모습에… 더 보기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평판과 자아 – 함께 생각하기 #04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공유경제의 시대>를 진단하는 연재 기고를 하고 있습니다. #WSJ “[공유경제의 시대 1] 대량생산보다 매력적인 개인의 서비스” (http://bit.ly/1pvxTm2) 에어비앤비(#Airbnb https://www.airbnb.com)와 우버(#Uber https://www.uber.com/)의 성공과 기존 경제… 더 보기 »[함께 생각하기] #3. 새로운 신뢰관계의 형성과 공유경제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스마트 워치, Fitbit이나 Jawbone 같은 건강 밴드류, 옷이나 신발, 장신구에 부착되는 각종 센서류들, 미래의 어느 곳에서 날아온 듯한 ‘infortainment’ 기기 Google Glass까지, 우리… 더 보기 »[전망] Wearable Device의 2014년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모습
‘오가닉 미디어(Organic Media)’라는 개념은, 몇 해를 정리하지 못하던 ‘네트워크와 콘텐츠’에 대한 개념을 깔끔하게 틀을 잡을 수 있게 도와준 신선한 발견이었습니다. 윤지영 박사님과 노상규 교수님의 내공… 더 보기 »[함께 읽기] #7. 콘텐츠를 다시 바라보는 질문 – 오가닉 미디어
지난번에 잠깐 강좌 소개를 했던 Doing Journalism With Data: First Steps, Skills and Tools(‘데이터를 활용한 저널리즘_첫 시도, 익혀야 할 것 그리고 도구들’)이 지난 5월 19일… 더 보기 »[소개] ‘데이터를 활용한 저널리즘_첫 시도, 익혀야 할 것 그리고 도구들’
새로운 한 해의 시작에 맞춰 함께 생각해볼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논점과 전망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교유과 강의 용도로 만들어진 문서이니 만큼, 내용에 있어 설명이 불충분하거나 좀더 추가적인… 더 보기 »[공유]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트렌드 2014 – 논제와 전망
Leo Burnett이 지난 해 10월에 SlideShare에 공유한 “The Future of Advertising: How brands can embrace miraculous new technologies to change our daily lives“라는 자료가 새삼… 더 보기 »[소통과 전망] #2. 기술혁신과 일상의 변화, 그리고 브랜드와의 관계 – Leo Burnett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면 각 부문 별로 이러저러한 전망을 예견하는 이야기들이 쏟아져나옵니다. 늘 새로운 변화가 요동치는 디지털 영역, 소셜 미디어 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각종 기관,… 더 보기 »[소통과 전망] #1. 2014년 소셜 미디어 부문에 대한 전망 (1) – meltwater
올 한 해 각 달마다 소셜 미디어와 관련된 중요 사건들을 한 눈에 정리해주는 재미있는 인포그래픽입니다. 우리나라의 상황과는 조금 관련성이 떨어지는(?) 사건과 이슈들이 더러 눈에 보이지만, 한눈에… 더 보기 »[Infographic] 한눈에 보는 올 해의 소셜 미디어 이슈 2013
올해 들어 유난히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위기”라고 부를만한 사건들이 눈에 띄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보이지 않던 것들이 수면 위로 드러나게 되었다는 표현이 맞을 수도 있는데, 그… 더 보기 »최근 위기관리 사례 분석의 종합판 – The Lab h “그들은 과연 쿨하게 사과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