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사회에서의 평판과 자아 – 함께 생각하기 #04
초연결 사회(Hyper-connected World) 속의 ‘나’의 모습은? 사회라는 것 속에 살아가는 이상, 사람은 진짜 나의 모습과는 별도로 다양한 ‘사회적 자아’를 갖게 된다. 그 중에는 내가 바라는 모습에… Read More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평판과 자아 – 함께 생각하기 #04
https://www.googleoptimize.com/optimize.js?id=GTM-TL7THZ9
초연결 사회(Hyper-connected World) 속의 ‘나’의 모습은? 사회라는 것 속에 살아가는 이상, 사람은 진짜 나의 모습과는 별도로 다양한 ‘사회적 자아’를 갖게 된다. 그 중에는 내가 바라는 모습에… Read More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평판과 자아 – 함께 생각하기 #04
애플와치(#AppleWatch)를 두고 엇갈리는 시각이 많아서, 맘 먹고 발표 현장 영상을 다시 둘러봤습니다. 무려 2시간 3분 25초짜리 영상이지만, 행사 영상이라는 걸 감안하면 그리 지루하지 않은, 여러가지… Read More »[함께 둘러보기] #1. 팀 Apple로 진화해가는 혁신의 현장
밥은 생명이다. 스스로 먹는 것을 중단하는 행위는 ‘단호한 의지’를 필요로 한다. 생명을 지탱하는 배고픔의 욕구를 다스리며, 뜻과 마음의 결을 단단히 세우는 일… 이런 모진 결기가… Read More »[함께 생각하기] #2. 밥을 끊고 온 힘을 다해 탄원하는 사람을 생각하며
Instagram 활동에 대한 다양한 도구를 제공해주던 Statigram 이 Iconosquare(http://iconosquare.com/)라고 이름을 바꾸고, 웹 뷰어와 통계정보 외에 댓글관리, 웹-블로그 연계 서비스(위젯), 콘테스트, 프로모션 지원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 Read More »[함께 쓰기] #3. Instagram에 날개를 달자 – Iconosquare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공유경제의 시대>를 진단하는 연재 기고를 하고 있습니다. #WSJ “[공유경제의 시대 1] 대량생산보다 매력적인 개인의 서비스” (http://bit.ly/1pvxTm2) 에어비앤비(#Airbnb https://www.airbnb.com)와 우버(#Uber https://www.uber.com/)의 성공과 기존 경제… Read More »[함께 생각하기] #3. 새로운 신뢰관계의 형성과 공유경제
‘여자는 태어나는 게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P&G의 캠페인의 일환으로 제작된 영상을 보면, ‘여성스럽다’, ‘여자같이’ 같은 수식어가 요구하는 것들을 사람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있고, 그 이해의 정도… Read More »[함께 생각하기] #2. 여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 #LikeAGirl
무엇이 사람을 사람답게 하는가? “집, 가족, 미래 (Home, Family, Future)”의 가치를 역설하며, 평화와 공존을 위해 고뇌하는 지도자 시저(Ceaser)를 지켜보며 무엇이 느껴지는가? “유인원은 유인원을 죽이지 않는다”는… Read More »[함께 읽기] #8. ‘사람다움’을 되돌아보게 하는 거울
지난 해부턴가 하고 있는 ‘일의 본질’이 무얼까 곰곰히 생각해보다가, 결국 우리의 일은 ‘올바른 물음’을 던지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의 기둥’을 세웠습니다. 헌데 바른 물음을… Read More »[함께 생각하기] #1.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위한 핵심 논제와 주요 현안
Day One (http://dayoneapp.com/)은 오랬동안 써보고 싶었던 아주 유명한 ‘글쓰기’ 도구입니다. (물론, 맥 사용자에게만 해당하는 명성이겠지만 ^^;;) 깔끔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환경(UX)은 맥 시스템의 기본적인 디자인 철학과… Read More »[함께 쓰기] #1. iOS 기반의 혁신적 글쓰기 도구 – Day One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스마트 워치, Fitbit이나 Jawbone 같은 건강 밴드류, 옷이나 신발, 장신구에 부착되는 각종 센서류들, 미래의 어느 곳에서 날아온 듯한 ‘infortainment’ 기기 Google Glass까지, 우리… Read More »[전망] Wearable Device의 2014년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모습